[갤럭시 S10 인터뷰②] “나눠서 좋은 똑똑한 배터리 생각했죠”

2019/03/15
본문듣기 AUDIO Play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SAMSUNG Newsroom 삼성전자 뉴스룸이 직접 제작한 기사와 사진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차, 배터리! (OTL)”

누군가를 만나러 급히 집을 나서는 길, 스마트폰 배터리가 깜빡일 때 까마득했던 기억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출시한 갤럭시 S10 시리즈는 ‘무선 배터리 공유’ 기술을 탑재해 이런 불편을 줄일 수 있게 했다. 무선 배터리 공유는 갤럭시 S10으로 스마트폰은 물론 웨어러블 기기까지 충전할 수 있는 기술[1].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층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내장 배터리를, 또 한 편 다른 기기들과 공유할 수도 있어 ‘나눔과 소통’의 가치를 더했다는 의미가 있다.

12일 삼성전자 뉴스룸에서 갤럭시 S10의 배터리 기술을 담당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자들과 상품기획자들을 만나 그간 여정을 들어봤다.

▲ 갤럭시 S10의 배터리 기술 기획•개발을 담당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김유수, 이현수, 손홍정, 이주향, 문정민 씨(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 갤럭시 S10의 배터리 기술 기획·개발을 담당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김유수, 이현수, 손홍정, 이주향, 문정민 씨(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스마트폰부터 웨어러블까지, 올려놓기만 하면 ‘반짝’

지난해 배터리 개선에 대한 기술들을 고민하던 상품기획팀은 배터리가 방전된 순간 소비자들이 겪는 난감한 불편에 주목했다. 상품기획팀 문정민 씨는 “사람들이 충전을 위해 계획에 없던 카페에 방문하거나, 가방에 여러 충전 케이블과 휴대용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는데, 이런 불편을 조금이라도 줄여주고 싶었다”며 “‘갤럭시 S10을 무선 충전기로 만들어보자’는 아이디어를 실현하게 됐다”고 말했다.

처음 무선 충전을 적용한 갤럭시 S6 이후, 무선 충전이 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가 늘어났다는 점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더해주는 요인이었다. 개발실 김유수 씨<아래 사진>는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기가 늘었으니 그만큼 나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이들도 많을 것”이라며, “‘언제 어디서나’ 배터리를 나눌 수 있도록 충전 방식을 늘리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유수

무선 배터리 공유 원리는 무선 충전기와 비슷하다. 무선 충전기는 직류(DC) 전력을 받아 교류(AC)로 변환한 후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에너지를 내보낸다. 스마트폰은 다시 교류를 직류로 바꿔 배터리에 저장하는데, 갤럭시 S10 내부에 직류와 교류 양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회로를 넣어 단말기이자 무선 충전기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한 것.

특히 갤럭시 S10 시리즈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업계 최초로 갤럭시 워치, 갤럭시 버즈 등 웨어러블 기기[1]에도 배터리를 나눠줄 수 있다. 나눔의 ‘범위’를 넓히는 작업은 더 높은 장애물을 넘어야 하는 일이었다.

이수향

개발실 이주향 씨<위 사진>는 “배터리를 받는 기기들의 크기가 제각각이다 보니, 기기별로 배터리를 공급받는 코일에서 최대 효율을 내는 지점을 찾아내는 일이 가장 어려웠다”고 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전했다. 그는 “특히 스마트워치는 배터리를 받을 수 있는 코일의 크기가 작았다. 에너지를 전달하는 효율을 높이는 게 관건이었는데, 1년여의 고된 연구를 거쳐 높은 기준의 내부 신뢰성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AI 기술이 배터리 효율화까지 ‘척척’

무선 배터리 공유 기능은 갤럭시 S10의 배터리 잔량이 30% 이상일 때만 작동한다. 즉, 누군가에게 배터리를 나눠주기 위해선 넉넉한 배터리가 필요한 것. 갤럭시 S10 시리즈는 스스로 배터리 사용을 최적화하는 AI 솔루션을 갖췄다.

손홍정, 이현수씨

시스템개발팀이 주목한 절전 포인트는 ‘사용하지 않는 앱’ 때문에 발생하는 배터리 손실이었다. 손홍정 씨<위 사진 왼쪽>는 “사용자들이 설치한 앱 중 실제로 매일 사용하는 앱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구동되지 않는 앱들도 백그라운드 환경에서 배터리를 소모시킨다”며 “이를 막기 위해 AI를 활용해 앱을 ‘자주 사용’, ‘가끔 사용’, ‘거의 사용하지 않음’ 등으로 그룹을 나눠 백그라운드 활동에 차등을 두게끔 했다”고 설명했다.

평소 배터리 사용패턴을 분석해, 자동으로 절전모드를 실행하는 ‘자동 절전’ 기능도 추가했다. 시스템개발팀 이현수 씨<위 사진 오른쪽>는 “자동 절전 모드를 켜 놓은 상태에서, 출근길 30분 정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던 사용자가 장거리 외근 때문에 평소보다 더 많은 배터리를 사용했다면, 알아서 절전모드를 실행해준다”며 “계속 학습을 하기 때문에 쓸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 갤럭시 S10의 배터리 AI 기술은 강화된 하드웨어와 만나 효율을 더욱 높였다. 갤럭시 S9에서 S10 시리즈로 넘어오면서 8.5mm였던 배터리 두께는 7.8mm까지 줄였고, 3000∼3500밀리암페어(mAh)였던 용량은 3400∼4100mAh로 약 10% 늘렸다 .

▲ 갤럭시 S10의 배터리 AI 기술은 강화된 하드웨어와 만나 효율을 더욱 높였다. 갤럭시 S9에서 S10 시리즈로 넘어오면서 8.5mm였던 배터리 두께는 7.8mm까지 줄였고, 3000∼3500밀리암페어(mAh)였던 용량은 3400∼4100mAh로 약 10% 늘렸다[2].

인터뷰에서 기획∙개발자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배터리 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문정민 씨는 “무선 배터리 공유로 사용자들의 불편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배터리를 공유하면서 친밀감도 생기고 소통도 늘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유수 씨는 “갤럭시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발전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배터리의 핵심인 효율과 안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기술로 사용자들에게 전에 없던 경험과 편의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갤럭시 S10의 배터리 기술 기획•개발을 담당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김유수, 이현수, 손홍정, 이주향, 문정민 씨(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1] 갤럭시 S9, S9+, S8, S8+, S8 액티브, S7, S7 edge, S7 액티브, S6, S6 edge, S6 액티브, S6 edge+, Note9, Note8, Note FE, Note5과 같이 WPC Qi 무선 충전 기능이 지원되는 삼성 또는 타사 스마트폰이나 갤럭시 워치 액티브, 기어 스포츠, 기어 S3, 갤럭시 워치, 갤럭시 버즈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로 제한됨. 일부 액세서리, 커버, 기타 타사 기기에서는 지원되지 않을 수 있음.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통화 품질이나 데이터 속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음.
[2] 외부기관 실험실 조건에서 테스트한 표준값이며, 정격(최소) 용량은 더 적음. 표준 용량값은 IEC 61960 표준에 따라 테스트 된 배터리 샘플 간의 배터리 용량 편차를 고려한 측정값임. 정격(최소) 용량은 갤럭시 S10e의 경우 3000mAh, 갤럭시 S10의 경우 3300mAh, 갤럭시 S10+의 경우 4000mAh임. 실제 배터리수명은 네트워크 환경, 사용 패턴 및 기타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제품뉴스 > 모바일

제품뉴스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