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더 안전하고, 더 쉽고, 더 효율적’… 삼성 ‘Home AI’를 경험하다

2025/01/08
본문듣기 AUDIO Play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나와 우리 집을 이해하는 가장 안전하고 쉬운 ‘Home AI’ 경험을 선보였다. 강력한 녹스 보안과 스마트싱스의 독보적인 연결성, 목소리를 구분하는 빅스비의 편리함까지 더해진 일상은 어떤 모습일까. 가까운 미래에 만나게 될 삼성의 차별화된 ‘Home AI’를 CES 현장에서 만나봤다.

CES 2025 삼성전자 ‘가전 프라이빗 쇼(DA Private Show)’의 AI 전략 소개 월(Wall). Ease of Use(쉽고 편리한 사용), Care(나와 가족 보살핌), Saving(에너지/시간/환경 효율화)을 핵심으로 한 ‘가장 쉽고 안전한 Home AI 경험(Safe and Easy Home AI Experience)’과 이러한 고객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녹스(Knox) 보안, 빅스비(Bixby), 스마트싱스(SmartThings) 생태계를 소개했다.

▲ 삼성전자의 AI 전략 소개 벽면. Ease of Use(쉽고 편리한 사용), Care(나와 가족 보살핌), Saving(에너지/시간/환경 효율화)을 핵심으로 한 ‘가장 쉽고 안전한 Home AI 경험(Safe and Easy Home AI Experience)’과 이러한 고객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녹스(Knox) 보안, 빅스비(Bixby), 스마트싱스(SmartThings) 생태계를 소개했다.

 

핵심은 보안… 연결될수록 더 안전하다

비스포크(Bespoke) Home AI의 핵심은 보안이다. 삼성전자는 녹스 기술로 가전을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안전성을 바탕으로 스마트싱스는 연결 생태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으며, 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환경에서 서로의 보안 상태를 점검하는 등 강화된 보안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녹스 보안 플랫폼 소개 월(Wall). 삼성전자는 자체 보안 솔루션인 녹스를 통해 연결 가전들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가전 업계 최초로 UL 솔루션즈의 IoT 보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와 업계 최다 인증을 받았다. (*제품과 기술별 도입 시기는 다를 수 있음)

▲삼성전자 녹스 보안 플랫폼 소개 벽면. 삼성전자는 자체 보안 솔루션인 녹스(Knox)를 통해 연결 가전들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가전 업계 최초로 UL 솔루션즈의 IoT 보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와 업계 최다 인증을 받았다. (*2018년 출시 스마트 가전부터 녹스 보안 기술 적용. 제품과 기술별 도입 시기는 다를 수 있음)

 

나의 취향과 집을 알아서 맞춰 관리해주는 Home AI

‘비스포크 AI 라이프스타일(BESPOKE AI Lifestyle)’ 체험 존 모습

▲‘비스포크 AI 라이프스타일(BESPOKE AI Lifestyle)’ 체험 존 모습

개인의 취향과 건강 관련 정보를 반영해 맞춤형 레시피를 알아서 추천해주고, 가전들이 스스로 기기를 관리하며, 집을 비우더라도 안심할 수 있는 일상. 비스포크 AI 라이프스타일 존에서는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비스포크 슬라이드인(Slide-in) 인덕션 레인지 등 삼성 가전들의 다양한 연결 경험 시연이 진행됐다.

사용자가 “빅스비, 오늘 내 일정을 알려줘”라고 하면, 빅스비는 목소리를 식별해 패밀리허브 계정을 전환하고 개인 일정 정보를 안내한다. 휴대폰에서 ‘큰 글씨 모드’를 설정해둔 사용자가 말을 걸면, 해당 접근성 기능이 패밀리허브 냉장고 화면에 자동으로 동기화된다. (*2025년 적용 계획 시나리오)

▲ 사용자가 “빅스비, 오늘 내 일정을 알려줘”라고 하면, 빅스비는 목소리를 식별해 패밀리허브 계정을 전환하고 개인 일정 정보를 안내한다. 휴대폰에서 ‘큰 글씨 모드’를 설정해둔 사용자가 말을 걸면, 해당 접근성 기능이 패밀리허브 냉장고 화면에 자동으로 동기화된다. (*2025년 적용 계획 시나리오)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의 ‘AI 비전 인사이드’와 진화한 빅스비를 활용하면 식재료 낭비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빅스비, 유통기한이 임박한 재료가 있어?”라고 물으면 이를 알려주고, “그 식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추천해줘”라고 말하면 해당 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이어 “첫 번째 레시피 대로 오븐으로 보내줘”라고 하면 조리기기 온도와 시간까지 설정해준다.

▲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의 ‘AI 비전 인사이드’와 진화한 빅스비를 활용하면 식재료 낭비를 줄이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빅스비, 유통기한이 임박한 재료가 있어?”라고 물으면 이를 알려주고, “그 식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추천해줘”라고 말하면 해당 재료를 활용한 레시피를 제공한다. 이어 “첫 번째 레시피 대로 오븐으로 보내줘”라고 하면 조리기기 온도와 시간까지 설정해준다.

홈 AI 환경에서 모바일 GPS와 가전의 여러 센서로 사용자의 외출이 감지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가전이 집 안을 스스로 관리한다. 로봇청소기는 알아서 먼지통을 비우고 에어컨은 내부 건조를 실행해 소음에서도 자유롭고 편리하다. (*가전 센서로 로봇청소기가 청소하는 시나리오는 2025년 적용 계획)

▲ Home AI 환경에서 모바일 GPS와 가전의 여러 센서로 사용자의 외출이 감지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가전이 집 안을 스스로 관리한다. 로봇청소기는 알아서 먼지통을 비우고 에어컨은 내부 건조를 실행해 소음에서도 자유롭고 편리하다. (*사용자 부재 감지 시, 로봇청소기 먼지통 비우는 시나리오는 2025년 적용 계획)

모두가 집을 비운 사이, 예기치 못한 위험 상황이나 수상한 움직임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삼성 가전의 센서가 이를 감지한 즉시, 로봇청소기가 해당 위치로 이동해 내장 카메라로 상황을 확인하는 동시에 스마트싱스를 통해 사용자 휴대폰으로 알림을 전송한다. 만약 상황이 외부인 침입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와 연계된 보안 업체로 알림이 전달된다.[1] 뿐만 아니라 인덕션이 켜진 채 일정 시간 방치될 경우 인덕션이 알아서 화력을 조절해 사고를 방지[2]하는 등 삼성 가전은 일상 속 위험 요소도 미리 예방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삼성 가전의 MDE(Multi Device Experience) 시나리오도 영상으로 다채롭게 소개되었다. 사용 패턴에 따라 맞춤 동작하는 에어컨, 반려동물을 발견한 로봇청소기가 카메라로 영상을 녹화해 사용자 스마트싱스로 알림을 보내는 기능,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스마트싱스 에너지 리포트 등 ‘Ease of use, Care, Saving’ 가치를 누릴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스크린 가전’으로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제어

삼성의 스크린 가전은 사용자가 편한 장소에서 언제든지 연결 가전들을 손쉽게 제어하고 가사의 수고를 덜 수 있도록 돕는다. ‘스크린 에브리웨어(Screens Everywhere)’ 존에서는 올해 새롭게 선보인 9형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냉장고와 7형 터치스크린을 각각 탑재한 비스포크 세탁기건조기 신제품도 함께 전시됐다.

다양한 스크린 가전이 한자리에 모인 스크린 탑재 가전 체험 존 전경

▲다양한 스크린 가전이 한자리에 모인 스크린 탑재 가전 체험 존 전경

별도 허브 없이도 안전하게 제어 가능한 삼성의 스크린 가전. 냉장고는 사용자가 다가서면 자동으로 날씨, 일정, 식단 추천 등 사용자 맞춤 정보를 요약해 제공하는 데일리 보드를 실행하고, 사용자는 세탁기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세탁 과정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가전을 통해 음악을 듣거나 전화를 받고, 집안 어디에서든 콘텐츠를 감상하며 다른 기기에서 간편하게 이어볼 수도 있다.

기술이 알아서 사용자의 삶에 맞춰가는 삼성의 Home AI. 나와 우리 집에 대해 이해하고, 일상을 더욱 쉽고 안전하게 만들어주는 비스포크 연결 경험은 계속해서 진화할 예정이다.


[1]가전 센서와 연동한 댁내 모니터링은 2025년, 보안업체 알림은 2026년 이후 적용 계획

[2]가전 화력 조절 관련 시나리오는 2026년 이후 적용 계획. 인덕션 원격 화력 조절 기능은 국가별 규격 검토 중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