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단위 반도체 결함도 척척 찾아내는 ‘해결사’ 신진경 선임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ec%bd%98%ed%85%90%ec%b8%a0-%ec%95%88%eb%82%b4-%eb%b0%b0%eb%84%88-5-1삼성전자에 이런 직군이? ⑷ 디팩 제어 엔지니어 편_신진경 선임

인간의 눈엔 커다란 건물에서부터 책 속 조그마한 마침표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상(像)이 맺힌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게 전부는 아니다. 육안으론 구분되지 않는 미세 물질로 구성된 세상도 존재하는 법이다. 이를테면 ‘나노(nano, 10억분의 1)’ 단위 입자가 예사인 반도체 공정 같은 게 대표적이다.

신진경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메모리제조센터 선임은 노상 이 나노 입자와 사투를 벌인다. 반도체 불량의 원인 물질을 잡아내는 게 그의 주된 업무이기 때문. ‘메모리 디펙 제어’라는, 다소 낯선 부문에서 전문성을 쌓아가고 있는 그를 지난 24일 삼성전자나노시티화성캠퍼스(경기 화성시 반월동)에서 만났다.

 

‘머리카락 직경 10만분의 1’ 결점까지 본다

신진경 선임이 인터뷰에 응하고 있는 모습.

신진경 선임은 메모리디펙제어그룹 소속이다. 영단어 ‘defect(결점·缺點)’에서 유래한 ‘디펙’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하는 반도체 불량을 통칭하는 용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생기는 결함을 찾아 제어하는 게 그에게 주어진 임무다. 하지만 이 일, 결코 간단찮다. 1나노미터 차이로 결함 여부가 결정될 만큼 반도체 공정 자체가 굉장히 미세하기 때문이다. (1나노미터는 머리카락 직경의 10만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다.)

“반도체 공정을 보면 웨이퍼(wafer)[1]에 화학물질을 도포(塗布)하는 과정이 여러 번 있어요. 딱 정해진 양만큼만 도포해야 하기 때문에 오차가 약간만 생겨도 불량이 발생하죠. 예를 들어 대야에 물을 딱 1리터만 받아야 하는데 수도꼭지를 잠근 후 남아있던 물방울이 떨어지며 1리터를 약간 넘겨도 문제가 될 수 있단 뜻이에요. 혹 그런 상황이 발생하는지 점검하고 제어하는 게 제 일이고요.”

문제, 발견서 해결까지… “넓고 깊게 알아야”

신진경 선임이 흰색 가운을 입고 동료와 업무 얘기하고있는 모습.

신진경 선임의 업무는 단순히 결점을 찾아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적절한 방안을 찾아 발견된 결점을 완벽히 보완하는 것까지 아우른다. 그는 “우리 팀의 최종 목표는 불량률을 낮춰 수율(收率)[2]을 최대한 높이는 것인 만큼 찾아낸 결함을 해소해 마무리 지어야 비로소 일이 끝난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다른 부서와의 협업은 필수다. 신 선임은 “대부분의 협업은 반도체 공정 담당 기술팀과 이뤄진다”며 “우리가 찾아낸 문제를 기술팀에 알리고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함께 머릴 맞대고 고민한다”고 말했다.

신진경 선임이 현미경앞에서 연구업무를 체크하고있는 모습.

금속재료공학을 전공한 그에게 반도체 분야 업무가 처음부터 쉽진 않았을 터. 신진경 선임은 “처음엔 모든 게 낯설고 힘들었지만 불량이 있는 부분을 찾아내거나 여러 부서와 협의하고 개선해가는 과정에서 많은 걸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일하며 가장 기억에 남는 일화로 그는 ‘사내 교육용 강의 촬영 경험’을 꼽았다. “제품 결함을 포착, 기민하게 대응하려면 전체 공정을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 해요. 자연히 업무를 ‘넓고 깊게’ 알아야 하죠. 그게 인연이 돼 신입사원 교육용 강의 동영상 제작에 참여해 반도체 공정 전반을 설명하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반도체, 막연히 두려워 말고 많이 도전하길”

신진경 선임이 동료와 기계앞에서 연구에 관한 얘기를 듣고있다.

비전공자에게 반도체는 여전히 낯선 분야다. 신진경 선임 역시 회사 밖에선 일 얘길 좀처럼 꺼내지 않는다. “한 번은 친구들에게 제 업무를 간단히 설명한 적이 있어요. 분위기가 금세 어색해지더라고요(웃음). 제 딴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최대한 쉽게 풀어 말했다고 생각했는데 (수율 같은) ‘업계 전문 용어’가 적지 않게 등장했던 모양이에요.”

반도체 분야 취업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그가 건네는 조언은 이랬다. “반도체는 설비 자체가 워낙 대규모인 데다 가격도 고가여서 일상에서 접할 일이 적을 수밖에 없어요. 자연히 거리감도 느껴지죠. 하지만 어떤 업무든 적정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누구나 충분히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그런 교육 체계도 잘 갖춰져 있고요. 막연하게 두려워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도전해보세요.”

신진경 선임이 업무를 체크하며 미소를 짓고있는 모습이다.

제조업에서 ‘뭔가 새로 만들어내는’ 일만큼이나 중요한 게 ‘눈에 잘 띄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일 아닐까? 초미세(超微細) 공정을 기반으로 돌아가는 반도체 분야라면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런 점에서 신진경 선임의 존재감은 두드러진다. 그의 노력 덕에 한층 효율적인 공정이 가능해지기 때문. 추후 그의 활약이 더욱 빛을 발해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게 되길 기대한다.


[1] 반도체 집적회로를 만들 때 사용하는 실리콘 기판

[2] 결함이 없는 합격품의 비율. 웨이퍼 한 장에 설계된 최대 칩의 개수 대비 실제 생산된 정상 칩의 개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기획·연재

기획·연재 > 테마 기획 > 삼성전자에 이런 직군이?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