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Fast-Facts)
경영진
-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DX 부문장
-
경계현
대표이사 사장DS 부문장
재무 실적 *연결 재무제표 기준 (단위 : 조 원, 2022년 기준)
주요 사업 부문
-
DX (Device eXperience) 부문
-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
생활가전사업부
-
MX (Mobile eXperience) 사업부
-
네트워크사업부
-
의료기기사업부
-
-
DS (Device Solutions) 부문
-
메모리사업부
-
시스템LSI사업부
-
파운드리사업부
-
기술혁신 선도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5세대(5G)와 6세대(6G) 네트워크, 자동차 전장 등의 기술 혁신을 통해 "맞춤형 경험으로 열어가는 초연결 시대 실현"이라는 비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인공지능
-
5G & 6G
-
자동차 전장
-
로봇
글로벌 네트워크
27만이 넘는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74개국, 230여 개 거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2022년 말 기준)
-
270,372명임직원수
-
230여 개거점
-
74개진출국가
-
15지역총괄
-
31생산거점
-
41R&D센터
-
7디자인센터
-
108판매거점
조직문화
삼성전자는 ‘C랩’, ‘모자이크’ 등 임직원이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확산하고, 임직원들의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2012년부터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기준)
- 391누적 발굴과제 수
- 61누적 스핀오프 기업 수

‘모자이크’는 임직원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 성과 창출 플랫폼으로, 2014년 시스템 오픈 이후 사업 아이디어 제안뿐 아니라 정보 공유와 협업을 위해 쓰이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기준)
- 131,000일 평균 접속자 수
- 167,000누적 아이디어 수
스마트공장
삼성전자는 중소기업에 생산성 향상과 현장 혁신 노하우를 전수하고,
국내외 판로 개척·전문 인력 양성 교육·기술 지원 등을 통해
자생력 확보를 돕는 중소기업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2015~2017년
- 1,086개 업체 지원
- 사내 제조전문가 150여 명 파견
- 지원대상 기업 품질 평균 54%,
생산성 58% 개선
-
2018~2022년
- 2,000여 개 업체 추가 지원
- 품질·물류·금형 등 사내 제조전문가 200여 명 파견
- 중소벤처기업부와 총 1,100억원 재원 조성
-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삼성전자와 거래 여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지원
-
2023~2025년
- 취약기업(장애인/사회적 기업/ 인구감소지역) 지원으로 양극화 해소 및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
- 고도화/지능형공장 확대
- ESG(에너지 사용량, 친환경 소재, 안전한 작업 환경) 지원 강화
- 민간주도 자발적 스마트공장
확산 지원
(전북도 민간멘토단 사례 타 지차제 전파)
환경경영전략
삼성전자는 1992년 ‘삼성환경선언’을 시작으로 녹색경영을 펼쳐왔으며, 환경이 우리의 미래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2022년 ‘新환경경영전략’을 수립해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 * 1992년 ‘삼성환경선언’
- 2009년 ‘녹색경영비전’
- 2022년 ‘新환경경영전략’
-
탄소중립
-
자원순환
-
기술혁신을 통해
환경 난제 해결
2022년 성과
~2030 목표
~2050 목표
탄소중립

2022년 성과
- 온실가스 배출량 1,016만톤 감축
※ 전년 대비 59% 증가
- 글로벌 재생에너지 사용량
8,704GWh
※ 전사 재생에너지 전환율 31% 달성
- 7대 전자제품 대표 모델 소비전력 2019년 대비 16% 개선
~2030 목표
- 2023년 DX 부문 탄소중립 달성
- 2027년 해외 사업장과 DX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 전환
- 2030년 7대 전자제품 대표 모델 소비전력 30% 개선
~2050 목표
- 전사 탄소중립 달성
자원순환

2022년 성과
- 재생 레진 적용 플라스틱 사용량 98,826톤
※ 전년 대비 3배 증가
- 폐전자제품 600,502톤 수거
(2009~2022년 누적: 569만 톤)
- DX 부문 5개, DS 부문 7개 글로벌 사업장에서 폐기물 매립 제로 최고등급 인증
~2030 목표
- 2009년 이후 2030년까지 누적으로 1,000만 톤 폐전자제품 수거
- 2030년 플라스틱 부품의 50%에 재생 레진 적용
- 2025년 전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최고등급 인증 획득
~2050 목표
- 모든 플라스틱 부품에 재생 레진 적용
- 누적 2,500만 톤 폐전자제품 수거
기술혁신을 통해
환경 난제 해결

2022년 성과
- 소재 재활용 기술 연구하는 ‘순환경제연구소’ 설립
~2030 목표
- 탄소 포집 기술 반도체 제조 시설에 적용, 전사와 협력회사에 확대 적용
-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지역사회에 활용
~2050 목표
- 2040년 DS 부문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제거해 ‘자연상태’로 배출
상생경영
삼성전자는 ‘협력회사의 경쟁력이 곧 우리의 경쟁력’이란 믿음으로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교육과 인력 채용 지원
-
자금지원
-
제조 혁신 지원
-
기술 혁신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