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0년 2분기 실적 발표

2020/07/30
본문듣기 AUDIO Play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52.97조원, 영업이익 8.15조원의 2020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에는 데이터센터와 PC 중심의 견조한 수요로 메모리 매출은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스마트폰 등 세트 제품 판매가 감소하면서 전체 매출은 전분기 대비 4.3%, 전년 동기 대비 5.6% 하락했다.

영업이익은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수익성 개선, 디스플레이의 일회성 수익과 생활가전 성수기 효과 등으로 전분기 대비 1.7조원 증가한 8.15조원을 기록했다.

또한, 영업이익률도 15.4%로 큰 폭으로 개선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메모리 수익성 개선과 세트 사업의 양호한 실적 등으로 이익과 이익률 모두 개선됐다.

세트 사업의 경우, 예상 대비 빠른 수요 회복과 글로벌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을 활용한 효율적 대응, 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당초 우려 대비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반도체는 메모리의 경우, 데이터센터와 PC의 수요 견조로 실적이 개선됐다.

다만, 낸드(NAND) 비트(bit) 성장률은 모바일 수요 약세와 일부 응용처에 대한 일시적 가용량 부족으로 시장 성장을 하회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용 수요 둔화로 실적이 감소했으나, 파운드리는 고객사 수요 일부 회복 등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DP(Display Panel)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스마트폰 수요는 감소했으나 일회성 수익 발생으로 전분기 대비 이익이 증가했고, 대형 패널은 TV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모니터 판매 확대로 적자폭이 소폭 축소됐다.

IM 부문의 무선은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으로 스마트폰 판매량과 매출이 전분기 대비 하락했으나, 마케팅비 절감 등 비용 효율화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CE 부문은 에어컨과 건조기, 그리고 QLED 등 프리미엄 TV의 판매 확대를 통한 제품 믹스 개선, 운영 효율화 등으로 전분기 대비 이익이 개선됐다.

하만은 컨슈머 제품의 일부 수요 회복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자동차 업황 악화 속에 영업이익 적자가 지속됐다.

2분기 환영향과 관련해, 달러화가 원화 대비 강세를 나타내면서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일부 주요 성장 시장 통화의 원화 대비 큰 폭 약세에 따른 세트 사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이를 상쇄하면서 전체 영업이익에 대한 영향은 미미했다.

[하반기 전망]

하반기는 점진적인 세트 수요 회복이 기대되나,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과 업계 경쟁 심화 등 리스크도 예상된다.

다만, 현재는 세트 수요가 높은 상황으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SCM 역량을 집결해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는 신규 스마트폰과 게임 콘솔 출시로 인한 모바일과 그래픽 수요 회복세 전망 하에 탄력적인 제품 믹스와 투자 운영에 주력할 예정이다.

또한, 첨단공정 리더십 제고와 EUV(Extreme Ultra Violet, 극자외선) 도입 가속화 등 기술과 원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시스템 반도체는 고화소 센서·5G SoC(System on Chip) 등 제품의 판매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에 적극 대응해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다만, 3분기는 중저가 스마트폰 중심으로 시장 회복이 예상돼 본격적인 실적 개선은 4분기부터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패널의 경우, 연말까지 고객사 요구 물량에 차질 없이 대응하고 QD 디스플레이 제품 개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무선은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가운데, 업계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폴드 등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와 중저가 판매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 수익성 개선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다.

네트워크는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 수주 확대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CE 부문은 성수기를 맞아 QLED TV, 비스포크 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와 효율적인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통한 수익성 제고에 주력할 예정이다.

하만은 자동차 업황 개선과 컨슈머 오디오 판매 확대 등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시설투자]

2분기 시설투자는 9.8조원으로, 사업별로는 반도체 8.6조원, 디스플레이 0.8조원 수준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17.1조원이 집행됐으며, 반도체 14.7조원, 디스플레이 1.6조원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의 10.7조원 대비 6.4조원이 늘었다.

메모리는 향후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한 공정 전환과 증설용 설비 중심 투자가 집행됐고, 파운드리의 경우, 미세공정 수요 대응을 위한 5·8나노 증설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졌다.

[부문별 세부 내용]

□ 반도체

반도체는 2분기 매출 18.23조원, 영업이익 5.43조원을 기록했다.

2분기 메모리 사업은 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모바일 수요는 비교적 약세였으나, 재택 근무와 온라인 교육 증가로 데이터센터와 PC 중심으로 수요가 견조해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반기에도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은 상존하지만, 신규 스마트폰과 게임 콘솔이 출시되면서 모바일∙그래픽용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향후 응용처별 수요 등을 고려해 제품 비중을 조정하고 탄력적으로 투자를 운영하는 한편, D램은 1z 나노와 EUV 도입 본격화를 통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낸드는 원가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며 6세대 V낸드 등 첨단 공정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2분기 시스템LSI 사업은 글로벌 제조사 생산 차질과 스마트폰 소비 심리 둔화로 SoC 등 모바일 부품 수요가 하락하며 실적이 감소했다.

하반기는 5G 가입자 확대와 카메라 고사양화에 따른 5G SoC, 고화소 이미지 센서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하는 한편, 제품 경쟁력을 갖춘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2분기 파운드리 사업은 고객사 재고 확보 증가 등으로 인해 실적이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5나노 양산 착수와 4나노 공정 개발을 진행 중이며, 향후 EUV기반 최첨단 제품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평택에 생산라인 투자를 결정하는 등 미래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하반기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요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세공정을 이용한 모바일∙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소비자용∙HPC 등 응용처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 매출을 확보하고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는 2분기 매출 6.72조원, 영업이익 0.3조원을 기록했다.

2분기 디스플레이 사업은 전반적인 패널 수요는 감소했으나, 일회성 수익 발생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선진국 중심으로 스마트폰 판매 감소의 영향을 받았다.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차질에 따른 시장침체로 TV 수요가 감소했으나, 모니터 판매가 확대돼 적자가 소폭 개선됐다.

하반기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수요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 따른 패널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LCD 라인 축소가 진행되지만 고객사의 수요에 차질없이 대응하고 차세대 신기술 기반의 제품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 IM (IT & Mobile Communications)

2분기 IM 부문은 매출 20.75조원, 영업이익 1.95조원을 기록했다.

무선 사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매장이 폐쇄됨에 따라 스마트폰 판매량과 매출이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그러나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하반기는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업계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폴드 등 플래그십 신모델 출시와 중저가 모델 판매를 확대하는 한편, 운영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 노력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2분기 네트워크 사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외 5G 관련 투자가 계획 대비 지연됐다. 하반기에는 향후 미래 성장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신규 수주 확대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CE (Consumer Electronics)

2분기 CE 부문은 매출 10.17조원, 영업이익 0.73조원을 기록했다.

TV 사업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주요 지역이 봉쇄됨에 따라 시장 수요가 감소해 전분기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모두 감소했으나, 글로벌 SCM을 활용해 단기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고 비용 효율화로 인해 실적은 개선됐다.

또한, 삼성전자는 전분기와 전년동기 대비 QLED∙초대형∙라이프스타일 TV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해 업계 1위로서의 시장 리더십을 공고히 했다.

2분기 생활가전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시장 수요가 급감했으나, 그랑데AI, 비스포크 냉장고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와 에어컨의 계절적 성수기로 전분기와 전년동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반기는 연말 성수기 진입 등으로 인해 TV와 생활가전 시장 수요가 상반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시장 상황에 맞는 차별화된 대응으로 3분기 소비 수요를 공략하고 4분기 성수기 프로모션을 선제적으로 준비해 시장 수요를 선점할 계획이다.

또한, QLED∙초대형 TV와 뉴 셰프컬렉션, 비스포크 냉장고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하는 한편, 온라인 판매 인프라를 개선하고 온라인 전문 유통 채널과 협업을 강화해 판매 기회를 지속 발굴할 방침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삼성전자는 재무적 성과 창출 노력과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환경적,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주요 사안에 대해 주주들과 투명하게 소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그 일환으로 2019년에 처음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TCFD(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 기업 기후변화 관리 수준의 대외 공개 가이드라인) 권고안에 따라 정보 공개를 시작했고, 지난 6월 발간한 2020년 보고서에는 ‘기후행동(Climate Actions)’ 섹션에 관련 정보를 한층 체계화해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삼성전자는 2018년 6월, 2020년까지 미국, 유럽, 중국 지역의 모든 사업장에서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2019년 달성률이 92%에 달했고, 올 연말 100% 전환 목표 달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2020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처음으로 지속가능경영 관련 회계 표준인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를 도입해 지속가능경영 항목별로 회사의 노력과 성과를 공개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국내 중소·중견 기업에 회사의 제조혁신 기술과 노하우를 제공하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5년간 2천여 업체를 지원했다.

올 상반기에는 코로나19가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외 마스크 제조업체들의 생산성 향상과 마스크 생산 증대에 기여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향후에도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주주들과의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지속 강화하고, 인재와 기술을 통한 인류사회 공헌이라는 회사의 경영이념을 실천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코로나19 관련해 지속적으로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 하면서 임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도전적인 상황 속에서도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투자와 AI·5G·전장 사업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신기술 개발 등 코로나 사태 이후 변화될 사회와 경제 환경에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준비도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 삼성전자 2017∼2020년 2분기 분기별 실적 (단위 : 조원)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Q  2Q  3Q  4Q  전체  1Q  2Q  3Q  4Q  전체  1Q  2Q  3Q  4Q  전체  1Q  2Q  매출  계  50.55  61.00  62.05  65.98  239.58  60.56  58.48  65.46  59.27  243.77  52.39  56.13  62.00  59.88  230.40  55.33  52.97  CE부문  10.22  10.80  11.01  12.57  44.60  9.74  10.40  10.18  11.79  42.11  10.04  11.07  10.93  12.71  44.76  10.30  10.17  IM부문  23.50  30.01  27.69  25.47  106.67  28.45  24.00  24.91  23.32  100.68  27.20  25.86  29.25  24.95  107.27  26.00  20.75  DS부문  22.85  25.25  28.02  32.05  108.17  28.35  27.70  34.76  27.76  118.57  20.62  23.53  26.64  24.74  95.52  24.13  25.05     반도체  15.66  17.58  19.91  21.11  74.26  20.78  21.99  24.77  18.75  86.29  14.47  16.09  17.59  16.79  64.94  17.64  18.23  DP  7.29  7.71  8.28  11.18  34.47  7.54  5.67  10.09  9.17  32.47  6.12  7.62  9.26  8.05  31.05  6.59  6.72  하만  0.54  2.15  2.09  2.32  7.10  1.94  2.13  2.22  2.55  8.84  2.19  2.52  2.63  2.73  10.08  2.10  1.54  영업 이익  계  9.90  14.07  14.53  15.15  53.65  15.64  14.87  17.57  10.80  58.89  6.23  6.60  7.78  7.16  27.77  6.45  8.15  CE부문  0.41  0.35  0.49  0.55  1.80  0.28  0.51  0.56  0.68  2.02  0.54  0.71  0.55  0.81  2.61  0.45  0.73  IM부문  2.07  4.06  3.29  2.42  11.83  3.77  2.67  2.22  1.51  10.17  2.27  1.56  2.92  2.52  9.27  2.65  1.95  DS부문  7.59  9.69  10.85  12.20  40.33  11.76  11.69  14.56  8.50  46.52  3.54  4.15  4.24  3.66  15.58  3.72  5.74     반도체  6.31  8.03  9.96  10.90  35.20  11.55  11.61  13.65  7.77  44.57  4.12  3.40  3.05  3.45  14.02  3.99  5.43  DP  1.30  1.71  0.97  1.41  5.40  0.41  0.14  1.10  0.97  2.62  △0.56  0.75  1.17  0.22  1.58  △0.29  0.30     하만  0.02  0.01  △0.03  0.06  0.06  △0.04  0.04  0.08  0.07  0.16  0.01  0.09  0.10  0.12  0.32  △0.19  △0.09

※ CE (Consumer Electronics), IM (IT & Mobile Communications), DS (Device Solutions), DP (Display Panel)

※ 각 사업군별 매출과 영업이익은 2020년 조직 기준으로 작성됐으며, 각 부문별 매출액은 부문간 내부 매출을 포함하고 있음.

※ CE 부문은 ’20년부터 의료기기 사업부가 포함되어 있음

※ 하만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삼성전자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됐으며, 인수와 관련된 비용이 반영되어 있음.
(2017.1분기는 인수 절차가 완료된 3월 11일 이후의 실적임)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