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진정한 AI TV의 시작” 삼성전자, ‘언박스 & 디스커버 2025’서 혁신적 스크린 경험 제시

2025/04/07
본문듣기 AUDIO Play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삼성전자는 7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언박스 & 디스커버(Unbox & Discover) 2025’를 열고 진정한 AI TV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AI 스크린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비전 AI(Vision AI)’와 OLED 기술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스크린 사용 경험을 선사하는 삼성전자의 시장 리더십을 현장에서 만나보자.

관람객들이 ‘언박스&디스커버 2025’ 행사장에서 삼성 AI TV의 핵심 기술에 대해 듣고 있다.

▲ 관람객들이 ‘언박스&디스커버 2025’ 행사장에서 삼성 AI TV의 핵심 기술에 대해 듣고 있다.

 

삼성 비전 AI로 여는 맞춤형 스크린 경험의 새 시대

삼성전자는 사용자 맞춤형 스크린 경험을 제공하는 ‘비전 AI(Vision AI)’를 기반으로 스크린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삼성 AI 기술의 지향점을 담은 ‘비전 AI’와 핵심 기술을 소개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AI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자 경험’을 뽑은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용석우 사장

▲ AI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자 경험’을 뽑은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용석우 사장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용석우 사장은 “‘비전 AI’는 내가 원하는 것을 알고 필요한 것을 인식해 해결책을 제안하며, 나에게 맞춰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삼성의 AI 스크린은 매일의 삶을 더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동반자”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조은애 프로는 “타이젠 OS는 스마트 TV뿐만 아니라 모니터, 빔프로젝터 제품까지 탑재되며 다양한 기기에서 보다 편리하고 스마트한 경험을 제공한다”며 “보다 지속 가능한 AI 경험을 위해 ‘One UI 타이젠’에 대해 최대 7년간 무상 업그레이드를 지원한다[1]”고 말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AI 서비스는 홈 인사이트(Home Insight), 클릭 투 서치(Click to Search), 실시간 번역(Live Translate), AI 업스케일링(Upscaling), 생성형 배경화면(Generative Wallpaper), 사운드 최적화 Pro 등 다양하다.

(왼쪽부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조은애 프로, 이기욱 프로와 한국총괄 이세훈 프로가 각각 AI 경험 제고, 차별화된 시청 경험, 소비자 선택 폭 확대를 위한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왼쪽부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조은애 프로, 이기욱 프로와 한국총괄 이세훈 프로가 각각 AI 경험 제고, 차별화된 시청 경험, 소비자 선택 폭 확대를 위한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이기욱 프로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TV에서는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 ‘녹스 볼트(Knox Vault)’ 등 삼성 녹스(Knox) 기반의 철통 보안을 강조했다. 이어 삼성 아트 스토어, 삼성 TV 플러스, 게이밍 허브 등 콘텐츠 서비스로 “차별화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 한국총괄 이세훈 프로는 AI TV, 초대형 TV, OLED 등 라인업 확대를 통해 “소비자분들에게 선택의 폭을 더욱 넓혀드리겠다”고 설명했다.

 

진정한 AI 홈을 완성하는 삼성 TV의 기술 혁신

발표 행사 후 전시장에서는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와 AI 홈의 중심이 된 디스플레이의 진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AI가 집안에 연결된 가전의 상황과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사용 솔루션을 제안하는 ‘홈 인사이트(Home Insight)’, 부재 시 이상 움직임을 감지해 실시간 알림을 보내주는 ‘홈 모니터링(Home Monitoring)’ 등 진정한 ‘AI 홈’을 완성할 혁신 기술이 눈길을 끌었다.

‘3D 맵뷰’는 TV를 통해 집 안 구조와 연결된 기기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해 편리한 제어를 돕는다. 여기에 ‘홈 인사이트’ 기능을 활용하면 AI가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 사용 이력, 집 안 상태 등을 고려해, 기기 제어부터 특정 기능 활용 등 필요한 행동을 추천해 줄 수 있다.

▲ ‘3D 맵뷰’는 TV를 통해 집 안 구조와 연결된 기기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해 편리한 제어를 돕는다. 여기에 ‘홈 인사이트’ 기능을 활용하면 AI가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 사용 이력, 집 안 상태 등을 고려해, 기기 제어부터 특정 기능 활용 등 필요한 행동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외국어 콘텐츠를 감상할 때 ‘실시간 번역(Live Translate)’을 활용하면 AI가 콘텐츠의 자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제공한다.

▲ 외국어 콘텐츠를 감상할 때 ‘실시간 번역(Live Translate)’을 활용하면 AI가 콘텐츠의 자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제공한다.

키워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도를 반영해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생성형 배경화면(Generative Wallpaper)’ 기능은 관람객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 키워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도를 반영해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생성형 배경화면(Generative Wallpaper)’ 기능은 관람객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AI 화질 업스케일링과 시청 화면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향한 호평도 이어졌다. 관람객들은 저해상도 영상을 8K급으로 감상할 수 있는 ‘AI 업스케일링 프로’, AI 딥러닝을 활용해 SDR 콘텐츠를 HDR로 바꿔주는 ‘오토 리마스터링 Pro’, 실시간 컬러 분석으로 장면에 최적화된 색을 표현해 주는 ‘컬러 부스터 Pro’, AI 자동 인식으로 콘텐츠별 맞춤 화질을 제안하는 ‘AI 맞춤 화면’ 기능을 비교 시연해 보며 삼성 비전 AI의 혁신 기술을 경험했다.

올해 공개된 ‘컬러 부스터 Pro’는 AI가 실시간으로 각 장면의 컬러를 분석하고 색 표현을 향상시켜 최상의 컬러를 구현한다.

▲ 올해 공개된 ‘컬러 부스터 Pro’는 AI가 실시간으로 각 장면의 컬러를 분석하고 색 표현을 향상시켜 최상의 컬러를 구현한다.

 

확대된 OLED 라인업과 강화된 화질 기술

‘OLED&사운드바존에서는 삼성전자의 다양한 OLED 라인업과 함께 사운드바 3종이 소개됐다. 올해 삼성은 최초로 42형부터 83형까지 OLED 풀 라인업을 구축하며 OLED를 선호하는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화질 기술도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2025년형 OLED의 ‘글레어 프리 2.0(Glare Free 2.0)’ 기술은 햇빛이나 조명과 같은 빛의 반사를 줄여 눈부심을 차단해 대낮에도 선명한 화면으로 최적의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여기에 128개의 AI 뉴럴 네트워크가 적용된 3세대 ‘4K AI 업스케일링 Pro’ 기술로 저해상도 영상도 4K 급으로 시청할 수 있다.

삼성은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시청 경험 향상을 위해 OLED 사이즈별 풀 라인업을 구축하고 다양한 사운드바 제품을 선보였다

▲ 삼성은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시청 경험 향상을 위해 OLED 사이즈별 풀 라인업을 구축하고 다양한 사운드바 제품을 선보였다.

 

기술과 예술 경계를 허무는 라이프스타일 라인업

삼성전자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제품들을 통해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올해부터는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일상 속 예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더 프레임(The Frame)’에서만 지원되던 삼성 아트 스토어를 ‘Neo QLED’와 ‘QLED’까지 확대 적용한다.

더 프레임 프로(The Frame Pro)’는 Neo QLED가 적용되어 선명한 색감과 정밀한 명암비 등 강화된 화질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우) TV에서 최대 10m 떨어진 곳까지 인식 가능한 ‘무선 원 커넥트 박스’는 TV에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복잡한 케이블 없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해 깔끔한 인테리어를 완성한다.

▲ ‘더 프레임 프로(The Frame Pro)’는 Neo QLED가 적용되어 선명한 색감과 정밀한 명암비 등 강화된 화질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우) TV에서 최대 10m 떨어진 곳까지 인식 가능한 ‘무선 원 커넥트 박스’는 TV에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복잡한 케이블 없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해 깔끔한 인테리어를 완성한다.

더욱 생생한 예술 작품 감상이 가능하도록 Neo QLED를 적용한 더 프레임 프로(The Frame Pro)’도 선보인다. ‘더 프레임 프로는 무선 원 커넥트 박스를 적용해 TV와 원 커넥트 박스의 연결이 무선으로 가능해져 작품 감상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시청에서 체험으로…새로운 차원의 몰입감

삼성은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늘 새로운 시청 경험을 제공해왔다. 업계 최초 인터랙티브 터치 디스플레이 ‘더 프리미어 5(The Premiere 5)’부터 국내 최초 무안경 3D 게이밍 모니터인 ‘오디세이 3D’까지 삼성의 혁신 기술은 체험의 재미와 놀라움을 자아냈다.

트리플 레이저 기술로 약 43cm의 짧은 거리에서도 최대 100형 대화면을 구현하는 초단초점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 5’는 스탠드 액세서리를 활용할 경우 아래 방향으로 투사해 터치 스크린을 만들고 그림 그리기, 퍼즐 게임 등 터치 기반의 게임과 다양한 활동이 가능해 교육, 비즈니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 트리플 레이저 기술로 약 43cm의 짧은 거리에서도 최대 100형 대화면을 구현하는 초단초점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 5’는 스탠드 액세서리를 활용할 경우 아래 방향으로 투사해 터치 스크린을 만들고 그림 그리기, 퍼즐 게임 등 터치 기반의 게임과 다양한 활동이 가능해 교육, 비즈니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오디세이 3D’는 시선 추적과 화면 맵핑 기술로 별도 기기나 3D 안경 없이도 입체적 몰입감을 구현한다. 또 AI 3D 영상 변환 기능으로 2D 영상을 3D 입체 콘텐츠로 변환해 극강의 현실감으로 3D 시청 경험을 선사한다.

▲ ’오디세이 3D’는 시선 추적과 화면 맵핑 기술로 별도 기기나 3D 안경 없이도 입체적 몰입감을 구현한다. 또 AI 3D 영상 변환 기능으로 2D 영상을 3D 입체 콘텐츠로 변환해 극강의 현실감으로 3D 시청 경험을 선사한다.

삼성전자는 언박스 & 디스커버 2025’에서 비전 AI를 통한 AI TV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사용자의 옆에서 일상을 더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동반자로서 기존 스크린의 제약을 뛰어넘어 새롭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삼성 AI TV의 활약을 기대해 보자.


[1]2024년 이후 출시 제품과 일부 2023년형 제품. 자세한 사항은 삼성닷컴을 확인하세요.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