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생각하는 갤럭시] ① 여러분은 어떤 충전기를 쓰고 있나요?

2020/06/05
본문듣기 AUDIO Play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지구를 생각하는 갤럭시] ① 여러분은 어떤 충전기를 쓰고 있나요?

“띠링띠링♪ 충전이 필요합니다”

모든 모바일 기기가 지닌 숙명, 바로 ‘충전’이다. 그게 유선이든 무선이든 아무리 마법 같은 기능을 지닌 기기라도, 주기적으로 전원 콘센트에 충전 케이블을 꽂아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으면 제 기능을 상실하고 만다. 매일매일, 어쩌면 하루에도 여러 번. 당연하게 해왔던 이 과정 안에 ‘지구’를 위한 노력이 숨어 있다.

삼성전자는 1990년대부터 시작한 지구 환경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회사의 의지와 노력을 ‘충전기’에 담아냈다. 충전 과정에서의 에너지를 절약하고, 충전기 제작에 사용하는 유해 물질을 줄여 사용자들이 친환경 라이프에 한발 다가설 수 있도록 돕는 것. “개개인의 일상 속 작은 습관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환경 보전 수단이 된다”는 믿음 아래 ‘착한’ 충전기 만들기에 몰두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담당자들. 그들이 만들어나가는 초록 세상을 들여다보자.

무선사업부 Power솔루션그룹 강원석 엔지니어&삼성전자 선행CMF Lab 프런비르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프런비르(왼쪽)·강원석 엔지니어

 

충전기에 ‘흡혈귀’가 산다?… 대기전력 낮춰 새는 전기료 ‘꽉’

우리는 보통 전자제품의 전원만 끄면 전기가 소모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전자제품은 전원이 연결되는 순간 바로 작동하기 위해 주요 부품이 켜진 상태에서 항상 ‘대기’하고 있다. 휴대폰 충전기도 마찬가지. 충전 완료 후 케이블을 분리했다고 해도, 충전기 플러그를 뽑지 않거나 멀티탭 전원을 차단하지 않으면 전기는 계속 소모된다. 이때 소비되는 전력이 바로 ‘대기전력’이다.

멀티탭에 많은 충전기가 꽂혀 있는 모습

‘그래 봤자 얼마나 소모되겠어?’라고 가볍게 넘길 수 있지만, 대기전력은 수년 전부터 전력 낭비 주범으로 인식되는 커다란 문제다. 외국에서는 ‘전기 흡혈귀(Power Vampire)’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 삼성전자는 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해서 솔루션을 확보해왔다. 삼성전자는 대기전력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관련 규제가 자리 잡기 전인 지난 2012년부터 갤럭시 스마트폰의 플래그십 모델 충전기[1]에 적용하기 위해 대기전력 20mW[2]를 준비하였고,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다른 모델까지 확대 적용했다. 또한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현재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해당 분야를 계속해서 연구해온 무선사업부 Power솔루션그룹 강원석 엔지니어는 “스마트폰을 충전 케이블에 꽂았을 때 에너지를 즉각적으로 공급하려면, 충전기가 항상 ‘살아 있어야’ 한다. 과거에는 별다른 조절 없이 계속해서 충전기를 깨워 두었다면, 이제는 기술을 더해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재워 놓았다가 다시 깨우는 것”이라면서 “동작하는 데 무리가 없는 특정 전압까지 떨어뜨렸다가, 다시 올리며 일정한 ‘주기’를 만드는 식으로 에너지 손실을 줄여나간다”는 기술 배경을 설명했다.

 

충전기 꽂고 자도 ‘완충’ 안된 이유?… 고사양·고효율의 비밀

대기전력 못지않게 친환경과 연결되는 지표는 바로 ‘충전 효율’이다. 만약 공급받은 에너지가 100일 경우, 손실 없이 그대로를 출력해내면 효율이 100%인 셈.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 에너지 효율은 약 80% 이상으로 EU 에너지 규격 ErP가 요구하고 있는 국제효율등급 Level 6를 충족하는 수치다.

삼성전자 충전기

‘고효율 충전기’ 속엔 작은 부품까지 치열하게 고민하고, 개선해 나간 개발진의 땀방울이 녹아있다. 강원석 엔지니어는 “충전기 내 에너지 변환 과정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부터 회로 등을 개선하는 데 집중했다”면서 “결과적으로 에너지 손실을 막아 사용자들이 누적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일관된 효율을 유지하는 과정은 ‘도전’의 연속이었다. 강원석 엔지니어는 “휴대폰 성능이 진화하고, 배터리 용량이 늘어나면 충전기 사양은 필연적으로 올라가야만 한다. 15W에서 25W, 45W 등 고사양으로 갈수록 요구하는 것들이 많아져 평균적인 효율은 떨어지기 마련”이라면서 “우리는 포기하지 않고 일관된 수준을 유지하려고 노력한 결과 고사양과 고효율 모두를 이뤄낼 수 있었다”고 그간의 여정을 떠올렸다.

‘친환경’, 어쩌면 거창하게 보일 수 있는 이 세 글자의 시작은 작은 실천이다. 실제 지난 2014년부터 6년간, 삼성전자는 친환경적 방법을 적용한 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로 수력발전소(1,300만kW급) 4.5기(基)[3]가 연간 생산하는 발전량의 에너지를 절약했다. 최고 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자발적인 노력과, 지속적인 투자가 더해져 만들어낸 결과다.

무선사업부 Power솔루션그룹 강원석 엔지니어&삼성전자 선행CMF Lab 프런비르

 

아껴 쓰고, 다시 쓰는 플라스틱… 지구를 위한 소재 혁신

현재 전 세계는 넘쳐나는 ‘플라스틱’에 몸살을 앓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다가오는 2050년 바닷속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환경오염 문제가 인류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자원순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충전기를 만드는 ‘소재’에 집중한 이유다.

현재 갤럭시 스마트폰의 충전기를 만들 때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Post Consumer Material, PCM)를 일부 사용하고 있다[4].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는 한 번 사용된 제품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소재로, 일반 플라스틱 생성 과정에서 사용하는 비스페놀A 등의 유해 물질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2019년 한 해 동안 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 제작[5]에 사용된 재생 플라스틱양은 약 5,000톤에 달한다.

삼성전자 선행CMF Lab 프런비르 엔지니어는 “재생 소재가 첨가되면 쉽게 부서지거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지만, 수많은 시도 끝에 물질 자체의 고유 성질을 보존하며 내구성과 심미성까지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 냈다”고 말했다.

전원을 직접적으로 받는 충전기는 ‘열’에도 민감하다.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가 얼마나 불에 잘 타는지 나타내는 ‘난연성’도 평가해야 한다. 프런비르 엔지니어는 “‘재생’ 소재를 첨가하는 것과 ‘난연’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 두 가지 도전을 한 번에 달성해야 하는 과정이 힘들었지만, 여러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소재 자체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 퀄리티도 올리는 방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충전기

프런비르 엔지니어는 “법으로 정해진 기존 규격에서 먼저 한발 더 나아가, 다른 회사들이 하지 않는 환경을 생각하는 제품들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길이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이런 노력이 모여 하나의 흐름을 만들고,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란 확신이 있다”고 말했다. 강원석 엔지니어 역시 “사용자들에게 충전기의 전력 소비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것부터 시작한다면, 차후 새로운 휴대폰을 고를 때 ‘에너지 소비’를 하나의 조건으로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라며 밝은 미래를 내다봤다.

실천하기 힘들고 불편하다는 이유로 ‘친환경’이라는 세 글자를 외면했다면, 이제 우리 삶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야 할 때. 친환경 혁신을 통해 삶에 초록 봄을 들이는 이들의 노력이 새로운 ‘길’이 되길 수 있길 기대해 본다.

무선사업부 Power솔루션그룹 강원석 엔지니어&삼성전자 선행CMF Lab 프런비르


[1]15W, 25W 급 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 기준

[2]국가별 에너지 규격 및 정책에 따라 적용시기는 달라질 수 있음

[3]2014년~2019년까지 판매한 누적 약 5.4억대의 15W, 25W 급 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는 유럽 ErP 및 미국 DoE의 Level6 기준인 100mW대비 3.5억kWh의 에너지 절감. 이는 화천 수력 발전소(1,300만 kW급) 4.5기에 해당하는 수치임. (화천 수력 발전소 발전량 수치는 네이버 지식백과 기준)

[4]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 생산 시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는 전체 플라스틱의 20%가 사용되며, 지속적인 재생 소재 비율 확대를 위해 연구 개발 중이다.

[5]갤럭시 충전기에 재생 플라스틱이 사용된 것은 2017년부터임

제품뉴스 > 모바일

제품뉴스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