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에너지 절감부터 사용자 맞춤형 차량까지, AI와 함께하는 초연결 라이프

2025/01/09
본문듣기 AUDIO Play
공유 레이어 열기/닫기

세계 최대 전자 박람회 CES 2025가 1월 7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며 글로벌 기술 혁신의 무대가 펼쳐졌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주제로, 일상 곳곳에 스며든 사용자 맞춤형 기술과 초연결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했다.

글로벌 기업들의 혁신 기술 각축장에서 펼쳐진 삼성전자의 AI 기술 향연, 그 생동감 넘치는 현장을 함께 들여다보자.

CES 2025 삼성전자 전시관 입구

▲ CES 2025 삼성전자 전시관 입구

 

집부터 차량, 오피스, 선박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AI 생태계, ‘Vision Highlight’ 존

‘Vision Highlight’ 존 전경

▲ ‘Vision Highlight’ 존 전경

삼성전자 전시관에 들어서자 파스텔 네온 톤의 미래지향적 디자인이 돋보이는 ‘Vision Highlight’ 존이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 공간은 스마트싱스를 중심으로 모든 디바이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를 생생하게 구현해냈다.

특히 녹스(Knox) 보안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안전한 환경’ 속에서 IoT 기기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작동하는지를 다양한 인터랙티브 장치를 이용해 직관적으로 보여주었다. 양쪽 둥근 벽면의 그래픽과 루핑 영상에는 스마트 기술이 가정을 넘어 산업과 교통 분야로 확장되는 과정과 삼성 헬스(Samsung Health)와의 연동을 통해 더욱 손쉬워지는 헬스케어 과정이 펼쳐지고 있다.

 

일상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스마트 기술의 집약체, ‘SmartThings Excellence’

‘SmartThings Excellence’ 존 전경

▲ ‘SmartThings Excellence’ 존 전경

최첨단 보안 기술로 스마트 홈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어주는 녹스(Knox)부터 디바이스 설정 과정을 간소화해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하는 캄 온보딩(Calm Onboarding), 집 안 기기를 한 손으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퀵 리모트(Quick Remote),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가구를 배치하고 공간을 설계할 수 있는 맞춤형 플랫폼 맵 뷰(Map View)까지. 스마트 홈 기술의 4대 핵심 가치인 ‘Security’, ‘Ease of Use’, ‘Saving’, ‘Care’를 통해 AI 기술이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전시 곳곳에서 설득력 있게 그려지고 있다.

관람객들이 최첨단 보안 기술인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와 ‘녹스 볼트(Knox Vault)’에 대해 설명 듣고 있다. 녹스 매트릭스는 연결된 기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고, 녹스 볼트는 중요한 정보를 별도의 안전한 저장소에 보관해 더욱 강력하게 보호하는 기술이다

▲ 관람객들이 최첨단 보안 기술인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와 ‘녹스 볼트(Knox Vault)’에 대해 설명 듣고 있다. 녹스 매트릭스는 연결된 기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고, 녹스 볼트는 중요한 정보를 별도의 안전한 저장소에 보관해 더욱 강력하게 보호하는 기술이다

미국 뉴욕주에서 온 ‘니콜라스 카이(Nicholas Cai, 위 사진)’는 “AI와 스마트 기술의 발전으로 해킹 위험이 커지고 있지만, 삼성의 녹스는 AI가 보안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삼성이 보안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어 안심이 된다”라고 관람 소감을 밝혔다

▲ 미국 뉴욕주에서 온 ‘니콜라스 카이(Nicholas Cai, 위 사진)’는 “AI와 스마트 기술의 발전으로 해킹 위험이 커지고 있지만, 삼성의 녹스는 AI가 보안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삼성이 보안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어 안심이 된다”라고 관람 소감을 밝혔다

‘캄 온보딩’은 스마트 기기의 구매부터 배송, 설치, 연결까지 모든 과정을 간소화한 기술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 영상 콘텐츠와 인터랙티브 월(Wall)을 다양하게 구성해 더욱 알기 쉽게 전달했다

▲ ‘캄 온보딩’은 스마트 기기의 구매부터 배송, 설치, 연결까지 모든 과정을 간소화한 기술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 영상 콘텐츠와 인터랙티브 벽면을 다양하게 구성해 더욱 알기 쉽게 전달했다

관람객들이 55인치 터치 스크린을 직접 눌러보면서 스마트폰 하나로 집 안의 모든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하는 ‘퀵 리모트(Quick Remote)’의 편리함을 체험하고 있다

▲ 관람객들이 55인치 터치 스크린을 직접 눌러보면서 스마트폰 하나로 집 안의 모든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하는 ‘퀵 리모트(Quick Remote)’의 편리함을 체험하고 있다

‘맵 뷰(Map View)’는 AI 기반의 스마트 홈 관리 플랫폼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가구를 배치하고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도구를 제공한다. CES 2025에서는 젠 AI(Gen AI) 기술을 활용해 테마를 적용하거나 가구 사진을 3D 모델로 변환하는 체험형 전시가 마련됐다

▲ ‘맵 뷰(Map View)’는 AI 기반의 스마트 홈 관리 플랫폼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가구를 배치하고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도구를 제공한다. CES 2025에서는 젠 AI(Gen AI) 기술을 활용해 테마를 적용하거나 가구 사진을 3D 모델로 변환하는 체험형 전시가 마련됐다

관람객들이 애슐리 홈 퍼니처(Ashley Home Furniture) 컬렉션을 활용해 자신만의 스타일로 ‘맵 뷰’를 꾸며보고 있다

▲ 관람객들이 애슐리 홈 퍼니처(Ashley Home Furniture) 컬렉션을 활용해 자신만의 스타일로 ‘맵 뷰’를 꾸며보고 있다

 

차량과 운전자의 연결성을 강화한 미래형 모빌리티의 시작 ‘HARMAN’ 존

삼성전자는 자회사 ‘HARMAN’과 함께 더욱 개인화되고 안전한 차량 서비스를 시연해 보였다. 운전자가 주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레디 케어(Ready Care)’ 솔루션, 최첨단 스크린 기술로 몰입감 넘치는 시각 경험을 제공하는 ‘레디 디스플레이(Ready Display)’, 운전자가 차량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차량 내 아바타(avatar) ‘레디 인게이지(Ready Engage)’ 등이 영상 콘텐츠로 소개되었다.

멕시코에서 온 ‘스테이시 푸엔테스(Stacy Fuentes)’는 “(삼성전자의) 모든 것이 매우 미래지향적이다. 특히 Harman 섹션이 눈에 띄었는데, 운전자와 차량의 상호 연결 기능과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이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 멕시코에서 온 ‘스테이시 푸엔테스(Stacy Fuentes)’는 “(삼성전자의) 모든 것이 매우 미래지향적이다. 특히 HARMAN 섹션이 눈에 띄었는데, 운전자와 차량의 상호 연결 기능과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이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기술 발전이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과 요구를 더욱 적극 반영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개인의 안전과 편리함을 위해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삼성전자의 다음 도약도 기대가 된다.

기업뉴스 > 기술

기업뉴스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