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 사도세자와 정조 이산.
특별한 약속이 없는 주말이 되면, 늘 어딘가 떠나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한 주 간의 스트레스를 날린다는 목적도 있지만, 그보다는 그저 소중한 시간을 무료하게 보내기 싫은 마음에서겠죠. 주말이 휴식의 시간이라기 보다는 ‘일주일 중 다른 것들을 해볼 수 있는 특별한 시간’으로 보는 게 더 좋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곳은 경기도 화성입니다. 저의 보금자리가 화성이 된 이유는 단지 ‘저렴한 주거비용’ 때문이었지만, 살다 보니 은근히 매력이 넘치는 곳이더군요. 이사 온지 얼마 되지 않은 2년 전, 집 근처 동네 구경을 하다 보니 공원이 있더군요.
‘왠 공원?’ (어.. 가까이 가보니 ‘융릉. 건릉’ 이라고 쓰여 있네요!) ‘뭔 이름이 저래..’ (하고 말았던 나.)
그 후 몇 개월 지나서 알았습니다. 정조대왕 ‘이산’과 그 아버지 ‘사도세자’가 묻혀있는 곳 이라는 걸!
아니 이산이 우리동네 있었어? 그 유명한 사도세자도?
마침 모 방송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사극 ‘이산’이 종영한지 얼마 되지 않은 터라, 마치 유명 연예인의 무덤(?)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_-; (그래서 방송과 미디어의 힘이 대단하다는 것 같습니다.)
드라마로 만들어져도 큰 인기를 끌었을 정도로 역사가 전해주는 ‘영조-사도세자(장조)-정조’의 일대기는 비극적인 동화 같은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맏아들 효장세자를 일찍이 여의고 7년 만에 얻은 아들(사도세자)는 마흔둘 나이의 영조에게는 더없이 귀하고 사랑스런 존재였겠죠.

▲ 융건릉 입구 쪽 안내판 입니다. 용건릉의 소개와 안내도가 그려져 있네요.▲ 정문입니다. 우측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기념비가 서 있습니다.

▲ 3가지 갈림길이 나옵니다. 좌측이 건릉(정조) 중앙이 산책로 우측이 융릉(장조) 방향입니다.

▲ 중앙 산책로를 통하면 융릉, 건릉 어디로든 다 갈 수 있습니다.

▲ 네, 당연하지만 ‘금연구역’이죠. 그것도 지정 제1호 랍니다.

▲ 곧게 솟은 소나무들이 비즐하지만, 알게 모르게 다양한 식물들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 대부분의 방문객은 ‘동네주민’입니다. 복장이 참 간편하죠? ^^

▲ 곧게 솟은 소나무숲이 그 웅장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소나무숲 사이로 나 있는 통로. 소나무 숲의 잔디밭엔 누구나 와서 자리 깔고 쉴 수 있습니다.

▲ 식수대도 있고, 생각보다 이곳을 아는 분이 많지 않아 방문객 대비 시설이 아주 훌륭합니다.

▲ 이정표 넘어 화장실도 보이네요. 융건릉에는 총 2 곳의 화장실이 있습니다. 융릉 앞, 건릉 앞

▲ 융릉으로 향하는 입구의 돌다리입니다. 단아한 한국의 미를 엿볼 수 있습니다.

▲ 융릉 앞에 위치한 연못. 곤신지

▲ 연못 안에는 연꽃이 무성합니다.
단아한 잔디밭 통로 넘어 아담하고 소박해 보이지만 격식과 기품 있는 연못을 만나게 됩니다. 특이한 점은, 보통 왕릉에서 보기 힘든 원형 연못이 위치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원형 연못은 통상 용의 여의주를 상징하는 것으로 아버지를 연모했던 정조의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저 멀리 융릉이 보입니다. 이 지점이 사진촬영 Point라고 하네요. ~

▲ 홍살문 넘어로 정자각, 그 뒤로 융릉이 보입니다. 융릉에는 현경왕후(정조의 어머니)도 같이 묻혀계십니다.
여기서 잠깐, 홍살문은 이곳이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문 입니다. 홍문, 홍전문 이라고도 한다 네요. 정자각은 딱 위치를 봐도 알 수 있듯이 왕의 신주를 모신 곳 입니다. 그리고 정자각 우측에는 통상 수라간(부엌)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비각(비석을 모셔놓은 곳)이 위치한다고 하네요. ~

▲ 친절한 안내 입간판도 서 있구요.

▲ 융릉의 좌측 수랏간에 걸터 앉아 찍은 융릉의 전경. 저 멀리 비각이 보입니다.

▲ 하늘이 참 맑죠? 사실 습해서 오 몸이 땀에 젖었다는…

▲ 정작 릉에는 들어 갈 수 없답니다. 편안히 쉬시도록 배려해 드려야겠죠?

▲ 자, 이제 융릉에서 건릉으로 이동합니다.

▲ 산책로로 손색이 없는 잘 가꿔진 숲입니다.

▲ 융릉과 건릉 사이의 산책로 중앙에는 공터가 있는데, 묘목이 심겨져 있네요. 어디에 쓰려는 거지?

▲ 산책로 중앙에서 찍은 구름에 가린 태양 사진. 멋있나요?

▲ 에구, 거리가 꽤 됩니다. 뭐 산책 삼아 온거니까 천천히 가죠. 뭐~

▲ 앗, 요새 보기 힘든 산 딸기도 곳곳에 있네요.

▲ 거의 다 왔습니다. 저 멀리 건릉이 보이네요. 정조대왕께서 묻혀 계신 곳입니다.

▲ 역시 홍살문 넘어로 정자각과 건릉이 보입니다. 융릉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 다만, 표지판으로 구분 할 뿐!

▲ 저 곳에 정조와 효의왕후께서 묻혀계십니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현 세대 뿐 아니라 우리 후대에까지 동화 같은 이야기로 남게 될 것 입니다.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은 매 한가지일 텐데, 아무리 노론의 모함과 배척이 있었다 한들 자식을 죽일 수 밖에 없었던 영조의 마음은 지금도, 나중에도 헤아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다만, 그의 아들 정조 이산의 아버지를 향한 연모와 행적은 비극가운데에도 희망은 있다는 메시지를 던져주는 것 같습니다. (항상 잘되란 법 없고, 항상 나쁘 란 법 없다!?)
영조가 그토록 사랑했을 사도세자, 그리고 사도세자가 너무도 사랑했을 그의 아들, 그리고 그 아비를 사무치게 그리워했던 정조 이산.
이번 주말, 동화 같은 역사 속으로 놀러 오지 않으시겠어요?
[참고] 융릉/건릉 소개책자 [문화재청 융릉관리소]
※ 본 블로그에 게시한 글은 개인적인 것으로 삼성전자의 입장, 전략 또는 의견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김현준 선임님의 다른 글 보기]
☞ 삼성에서 블로그하기
☞ 입사 6년차 사원증 목걸이 변천사
☞ 아버지와 아들, 사도세자와 정조 이산.
☞ 해외논문 출판해보기
기획·연재 > 오피니언
삼성전자 뉴스룸의 직접 제작한 기사와 이미지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 뉴스룸이 제공받은 일부 기사와 이미지는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삼성전자 뉴스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안내 바로가기>